구글드라이브(문서도구, 독스) 협업의 기본개념은 공유 및 권한설정으로 볼 수 있다.
특정한 문서나 폴더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설정을 할 수 있다.
1. 기본 공유 설정
■ 웹에 공개 :
웹사이트나 기타 게시판등에 게시할 수 있으며, 이 경우 검색이나 사이트공개등을 통해 공개
■ 링크가 있는 모든 사용자에게 공개 :
구글 로그인과 상관없이 해당 문서 링크를 알고 있는 모두에게 공개
■ 구글앱스(본인의 해당 조직, 개인사용자가 아닌 구글앱스 계정사용자의 경우에 해당) :
구글앱스에 본인이 속한 조직원에게 공개
■ 링크가 있는 구글앱스(본인의 해당 조직, 개인사용자가 아닌 구글앱스 계정사용자의 경우에 해당) :
같은 조직내의 구글앱스 사용자라 하더라도 링크주소를 알지 못하면 공개가 안됨
■ 비공개 :
특정인을 지목하여 공개 가능하며, 이외의 사용자에게는 비공개
2. 공유초대
위와 같은 기본 공유 설정을 한 후 다음의 공유 설정에서 공유초대를 할 수 있습니다.
특정사용자를 하단 이메일 또는 이름 기입란에 기입하여 초대를 할 수 있으며, 이 때 문서에 관한 접근 권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 이는 추후 설정 변경이 가능합니다.
■ 수정가능 : 문서의 편집 수정까지 가능한 상태로 공유.
■ 보기가능 : 문서를 함께 보고, 공유할 수 있으나, 수정권한은 없음.
3. 공유권한 개념도
간단한 개념도를 만들어 보았습니다.
기본적으로 A가 문서를 생성, 작성한 소유권자이며,
B와 C는 문서를 함께 볼 수만 있습니다.
D와 E는 실시간으로 문서를 함깨 공유하며, 편집까지 가능한 형태로 협업할 수 있습니다.
구글의 모든 공유와 협업 개념은 위와 같습니다.
하나의 문서, 파일이 존재하며, 사용자마다 다른 권한을 부여하고 해당 파일에 "접속" 하여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. 누군가 접근하여, 해당파일을 수정한다면, 최종적으로 수정된 문서를 접하게 되는 것이죠.
결국, 하나의 파일을 다수의 사용자가 각기 다른 권한을 가지고 접속 가능하다는 것이 구글드라이브(독스, 문서도구)의 핵심 개념으로 볼 수 있습니다.
협업의 기초는 결국 "공유"입니다.
'구글앱스 > 구글드라이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중소기업 - 구글앱스 드라이브의 양식을 활용한 입출고, 재고, 가공 관리 사례 (0) | 2013.01.13 |
---|---|
구글드라이브 PC버전 설치 오류시 대처방법 (0) | 2012.10.12 |
협업의 기초 - 문서의 공유권한과 설정 (0) | 2012.10.02 |
[구글드라이브] 구글 클라우드 커넥트 (0) | 2012.08.20 |
[구글드라이브] 첫 화면 살펴보기 (0) | 2012.08.19 |
구글드라이브(문서도구)의 상황별 사용예시 (0) | 2012.08.11 |